-
01. Profex 설치XRD 2024. 4. 3. 23:45
Profex의 설치는 매우 단순합니다.
https://www.profex-xrd.org/download/
Downloads – Profex
www.profex-xrd.org
이 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
대부분 윈도우를 쓰실테니, 윈도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다음
아래의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됩니다. 그리고 설치를 진행하면되고, 체크하거나 뺄거는 따로 없으니 실행하셔서 계속 진행하셔서 설치하면됩니다. 실행파일은
이렇게 생겼고, 아마 ProfexWP, ProfexST, ProfexED 등등 다른 실행파일도 생겼을텐데, 이것들은 저도 어디다가 쓰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우선 이 어플로 실행을 하시면됩니다. 설치가 끝난게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도 설치해야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설치는 아래와 같이 하시면됩니다.
아까 윈도우버튼을 누른 화면으로 돌아가서, 빨간색 상자안의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압축을 풀면됩니다 (압축 푼 경로 기억해두세요!)
압축을 푸셨으면, 다시 Profex 프로그램으로 돌아가서 프로그램 좌측상단에 Edit -> Preference에 들어갑니다.
그 다음은 맨 아래의 COD Database에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그리고 저기에 Local COD database를 체크해주시고, 경로를 찾아서 아까 압축푼 파일을 지정해주고 CIF files는 Download from COD server에 체크해주시면 COD 데이터베이스에서 XRD자료를 불러올수있습니다.
이후에 본인이 사용하는 XRD 장비에 대한 셋팅을 해야합니다. 셋팅은 Instrument -> Edit FPA Configuration 에 들어가시면됩니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열리는데요, 여기서 화면 좌측상단에 Load instrument Configuration에 들어가주세요! (폴더 모양)
그 다음에 아래의 경로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면 다양한 파일들이 나올텐데, 거기서 본인의 XRD장비와 맞는 설정을 고르시면됩니다. 만약 자신의 장비가 없다면 아래의 각종 설정들을 통해서 직접 맞춰주셔야합니다. 저 같은경우에는 학교에 비치된 Rigaku-Miniflex300 장비를 쓰고있기때문에 Rigaku-Miniflex.sav 파일을 불러왔습니다. 혹시라도 앞으로의 과정을 따라오실분들은 똑같은 파일을 찾으셔서 불러오시면 되겠습니다.
불러오셨으면, 아래의 재생버튼을 누르셔서 교정을 진행해주시면됩니다.
이렇게 되면 초기 셋팅은 끝났습니다! 다음편에는 Profex에서 제공하는 실습파일을 사용해서 실제로 XRD분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X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Profex 사용 예제 (COD 데이터베이스 접근) (0) 2024.05.02 00. XRD 프로그램 (Profex) 소개 (0) 2024.04.03